티스토리

믹아의 개발일기
검색하기

블로그 홈

믹아의 개발일기

mik-a.com/m

개인 공부 블로그

구독자
2
방명록 방문하기

주요 글 목록

  • Docker login - User interaction is not allowed. $ docker login {registryURL}$ Error saving credentials: error storing credentials - err: exit status 1, out: `error storing credentials - err: exit status 1, out: `User interaction is not allowed.`` 이렇게 뜸.$ security unlock-keychain$ docker login {registryURL}Login Succeeded 이렇게 해결 공감수 0 댓글수 0 2025. 2. 12.
  • Nginx 에서 Socket.io 세팅하기 개발 당시에는 localhost:3000 의 주소를 이용해서 nodejs socketio 서버랑 통신했었다. 이후 서버에 올리고 포트번호가 아닌 cname 을 통해서 통신하기 위해서 nginx 세팅을 했다. server { listen 443 ssl; ssl_certificate /etc/letsencrypt/live/my.co.kr/fullchain.pem; ssl_certificate_key /etc/letsencrypt/live/my.co.kr/privkey.pem; server_name api.my.co.kr; access_log /var/log/nginx/my-access.log; error_log /var/log/nginx/my-access.log; location / { proxy_pass .. 공감수 2 댓글수 20 2023. 2. 11.
  • [AWS EC2] EC2 Timezone 한국으로 변경 nodejs express 서버를 로컬에선 오차없이 실행되다가 서버에만 올리면 이상해지길래 timezone 문제라고 생각이 들었다. sudo rm /etc/localtime sudo ln -s /usr/share/zoneinfo/Asia/Seoul /etc/localtime 이후 nodejs 재실행하니 제대로 동작했다. 공감수 0 댓글수 26 2022. 9. 5.
  • [Nginx] 403 forbidden ( 13 : permission denied ) nginx로 웹서버를 하나 열었더니 권한 에러가 뜬다 "/root/master/index.html" is forbidden (13: Permission denied), 해당 index.html 의 권한을 먼저 보고 ls -l root 사용자로 돼있다. 이후 nginx 설정 파일을 수정하자 nano /etc/nginx/nginx.conf 첫줄의 user 를 root 로 바꿔주니 해결됐다. 이것저것 찾아보니 방법이 많던데 나는 이걸로 해결돼서 일단 올려놓음 공감수 4 댓글수 48 2021. 11. 23.
  • [Nginx] 에러 로그 실시간 확인 하기 tail -f /var/log/nginx/error.log tail 명령어에 -f 옵션을 줘서 실시간으로 변경되는걸 확인 할 수 있다 공감수 1 댓글수 51 2021. 11. 23.
  • Fail2ban 설치 0. 집에 라즈베리파이를 설치, 서버를 열어놨다. 근데 어느순간부터 ssh가 렉이 엄청 먹길래 무슨일인가 싶어서 보니 cpu 사용량이 100%를 찍고있었다. 아무것도 안했는데 그래서 해킹인가 싶어서 ssh 접속 기록을 찾아봤다 sudo nano /var/log/auth.log 난리가 났다. 모르는 아이피에서 엄청나게 짧은 간격으로 계속 접속을 시도하고 있었다. fail2ban 을 설치해서 한번 무차별 접속을 막아보자 1. 설치 sudo apt install fail2ban 2. 세팅 세팅 파일을 작성하자 sudo nano /etc/fail2ban/jail.local # jail.local [DEFAULT] # 최대 입력 허용 횟수 maxretry = 5 # 밴 시간 (초), -1 : 영구 bantime .. 공감수 0 댓글수 47 2021. 6. 7.
  • [Raspbian] 라즈베리 파이 VNC 접속하기 1. 라즈베리 파이 ssh 에서 vncserver -geometry 1920x1080 입력 (해상도는 마음대로) $ vncserver // geometry 옵션으로 해상도 설정가능 $ vncserver -geometry 1920x1080 그럼 하단에 나는 192.168.0.13:2 VNC 접속 주소가 주어졌다. 원래 1번포트부터 줄텐데 글쓰느라 한번 더 명령어를 입력해서. 2. VNC 뷰어로 저 주소에 접속 시도한다. www.realvnc.com/en/connect/download/viewer/ 나는 이 프로그램을 썼는데 이상하게 다른 프로그램으론 접속이 안되더라.. 더 알아봐야할듯 아까 주소로 접속 시도 라즈베리 파이 계정명과 패스워드를 입력한다 접속확인 재부팅하면 1번부터 다시 진행해야함. 공감수 1 댓글수 14 2021. 3. 17.
  • [Git] cannot open .git/FETCH_HEAD: Permission denied $ sudo chown -R $USER .git/ 다른 이유로 에러가 나긴 했지만 일단 permission denied 에러 해결 ㅎ;; 공감수 2 댓글수 16 2021. 2. 18.
  • [Linux] ssh server 자동 실행 우분투쓸땐 재부팅후에 자동으로 ssh server 실행됐던것 같은데 라즈비안은 자동 실행이 안되는 듯하다.. $ sudo systemctl enable ssh.service 입력후 재부팅해보자 공감수 0 댓글수 19 2021. 2. 16.
  • [DynamoDB] DynamoDB await 사용하기 const GetListFromDB = async () => { const scan = { TableName : config.aws_table_name } const ret = await dynamoDB.scan(scan).promise(); console.log(ret); } { Items: [ { idx: 'List', datalist: [] } ], Count: 1, ScannedCount: 1 } 뒤에 promise() 를 붙여주니 바로 데이터를 가져올수 있더라 공감수 1 댓글수 25 2021. 1. 11.
  • [DynamoDB] Nodejs 에서 DynamoDB 사용해보기 이번엔 AWS 의 DynamoDB를 한번 사용해보려고 한다. 일단 AWS의 사용자 키가 필요한데 없다면 mik-a.tistory.com/59 이 글을 보고 만들수있다. 1. 테이블 만들기 ap-northeast-2.console.aws.amazon.com/dynamodb/home?region=ap-northeast-2# https://ap-northeast-2.console.aws.amazon.com/dynamodb/home?region=ap-northeast-2 ap-northeast-2.console.aws.amazon.com 테이블을 만들었다. nodejs 로 넘어가서, npm install aws-sdk aws sdk 를 사용하기위한 모듈을 설치해준다 테이블에 데이터를 넣어보자 const AWS .. 공감수 0 댓글수 20 2021. 1. 11.
  • [AWS] AWS 액세스 인증 키 생성하기 AWS 의 서비스들을 사용하기위해 액세스 인증 키를 생성해보려고 한다. https://console.aws.amazon.com/iam/home#/home https://console.aws.amazon.com/iam/home#/home console.aws.amazon.com 위의 주소로 들어간다. 여기서 얻은 키는 다시 볼수없으니 잘 저장해두자. 이제 여기의 Access key ID 와 Seceret access key 로 aws의 여러 서비스를 사용해보자 공감수 1 댓글수 14 2021. 1. 11.
  • [AWS] EC2 로 가상 서버 실행하기 aws ec2 로 aws에 입문해보려고 한다. 1. 아래 사이트에 접속해주자 aws.amazon.com/ko/ec2/?nc2=h_ql_prod_fs_ec2&ec2-whats-new.sort-by=item.additionalFields.postDateTime&ec2-whats-new.sort-order=desc 아마존 클라우드 서버 호스팅 | Amazon Web Services 다양한 구매 모델 온디맨드, 스팟 인스턴스, Savings Plan과 같은 여러 가지 구매 모델을 제공합니다. 스팟 인스턴스를 사용하면 내결함성을 갖춘 워크로드 요금을 90%까지 절감할 수 있습니다. Saving aws.amazon.com 2. EC2 대시보드 창으로 넘어와지면 오른쪽 상단에 지역 선택을 해야한다 3. 인스턴스 시작.. 공감수 0 댓글수 16 2021. 1. 4.
  • [Ubuntu] 새 계정 생성시 docker 권한 문제 계정을 하나 추가해서 docker ps 를 쓰니깐 권한이 없다고 뜬다 Got permission denied while trying to connect to the Docker daemon socket at unix:///var/run/docker.sock: Get http://%2Fvar%2Frun%2Fdocker.sock/v1.40/containers/json: dial unix /var/run/docker.sock: connect: permission denied /var/run/docker.sock 에 권한이 없다는 듯... $ sudo chmod 666 /var/run/docker.sock 위 커맨드로 권한을 주자 공감수 0 댓글수 50 2020. 9. 5.
  • [Git] 모든 브런치 삭제하기 git checkout master git branch | grep -v '^*' | xargs git branch -D HEAD 가 아닌 브런치를 모두 삭제한다. 공감수 0 댓글수 17 2020. 8. 18.
  • [Git] gitignore 자동 생성하기 git 을 사용하다보면 임시, 빌드파일 등등 git에 추가하고 싶지 않은 파일을 gitignore 에 추가해서 사용한다. 이런 파일들을 정리 해서 .gitignore 파일로 추출해주는 사이트 https://www.gitignore.io/ gitignore.io Create useful .gitignore files for your project www.gitignore.io python 프로젝트의 gitignore 파일을 만들어보자 python을 입력하고 생성, 그럼 사이트가 이동된다. 여기서 Ctrl + S 을 눌러 저장하는 창이 뜨면, 프로젝트 폴더에 .gitignore 파일명으로 저장하자. Ctrl + A 를 눌러 전체선택하고 기존에 존재하던 .gitignore 파일에 붙여써도 되구.. 공감수 1 댓글수 12 2020. 5. 24.
  • [Git] 가장 최근 commit 파일, 메세지 내용 수정 마지막 commit 의 메세지를 수정하거나, 파일을 더 추가해서 같은 커밋으로 하고 싶을 때.. $ git add * $ git commit -m "임시 커밋" 대충 이런 상태.. git log -1 로 커밋 됐는지 확인 해볼수 있다. 새로 추가하고 싶은 파일이 생겼다. 파일들을 추가하고 커밋 메세지도 새로 입력해보자 $ git add * $ git commit --amend git commit --amend 를 입력하면 텍스트 에디터로 커밋 메세지를 수정하는 창이 뜬다. git bash 로 하니 nano 에디터로 실행됐다. 아무튼 저기서 원하는 메세지로 변경 후, Ctrl + X -> Y 를 눌러 저장한다 [nano editor 기준] 다시 git log -1 로 최근 커밋을 보자 성공적으로 변경되었다. 공감수 0 댓글수 14 2020. 5. 20.
  • [Git] branch 이름 변경하기 branch 이름을 feature/[name] 으로 관리중인데 자꾸 featrue 로 오타를 치게되더라... true 에 손이 익어서인가... 아무튼 그래서 이름 변경하는 법. $ git branch -m [변경할_branch] [변경할이름_branch] 그럼 이렇게 쓰면 되겠다 $ git branch -m featrue/issue#1 feature/issue#1 공감수 1 댓글수 21 2020. 5. 20.
  • parameter 와 argument 차이 이것저것 검색하거나, 다른 사람들과 대화할 때 리턴값, 전달값등 표현할 때 parameter, argument 를 그냥 생각나는대로 말하다가 의문점이 들었다. 무슨 차이일까? 검색으로 내가 이해하기론.. Parameter (매개 변수) 는 함수 정의에서 선언한 입력 변수 , Argument (전달 인자) 는 함수에 입력 하는 변수 로 이해했다. def func(a,b) : return a + b func 함수에서 정의한 a, b는 parameter func(1,3) func 함수를 호출하기 위해서 1, 3 을 입력한건 argument 이것말고도 헷갈려서 혼동하면서 쓰는 단어가 몇개씩 있는데 찾아가며 구분해가며 써야겠다. Reference : https://stackoverflow.com/questions.. 공감수 0 댓글수 15 2020. 5. 6.
  • [Git] Gitlab ssh key 등록하기 (windows) gitlab 에 들어가면 ssh key 를 등록하라고 뜬다. 등록해보자 폴더 아무곳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 git bash를 연다. ssh-keygen -t rsa -C "yourGitEmail@email.com" -b 4096 이 커맨드를 입력하면 저장할 위치, 패스워드를 입력하라고 뜨는데 그냥 기본값으로 해도된다. 엔터 3번누르자 Your identification has been saved in /c/Users/mik_a/.ssh/id_rsa Your public key has been saved in /c/Users/mik_a/.ssh/id_rsa.pub 그럼 내 ssh 키가 저 경로에 저장됐다고 뜬다. 저 경로로 들어가서 id_rsa.pub 파일을 텍스트 에디터로 열자 ssh-rsa AA.. 공감수 1 댓글수 10 2020. 5. 2.
  • [Git] pull, push 시 username, password 생략하기 (git-credential-cache) git-credential-cache - 메모리에 password 를 저장함 $ git config credential.helper store --global 커맨드 입력 후 push, pull username, password 를 한번 입력하면 이후로는 입력이 필요없다. https://git-scm.com/docs/git-credential-cache 공감수 1 댓글수 32 2020. 4. 23.
  • [Docker] 도커 컨테이너 파일 로컬로 복사 나는 컨테이너를 -v 로 옵션을 줘서 로컬 파일을 컨테이너 안에 공유하며 사용중이다. 그런데 가끔 git 이나 docker hub 등에서 image 를 가져온 경우 그 컨테이너 안의 파일이 필요한 경우도 있다. 혹은 컨테이너 안에 내 파일을 추가해야하는 경우도. docker cp 로 하면 된다. 리눅스의 cp 와 사용법은 거의 동일하다. 컨테이너 안의 파일을 로컬 디렉토리로 복사해보자 $ docker cp container_name:/root/i_want_cp_this_file /root/local_dir 반대로 로컬 파일을 컨테이너 안으로 복사해보자 $ docker cp /root/i_want_cp_this_file container_name:/root/container_dir 공감수 0 댓글수 54 2020. 4. 14.
  • [Docker] ps command 전체 보기 docker 의 container 를 보기위해 docker ps 명령어를 쓰면 $ docker ps CONTAINER ID IMAGE COMMAND CREATED STATUS PORTS NAMES 3516940c03f4 mongo:latest "docker-entrypoint.s…" 16 hours ago Up 16 hours 0.0.0.0:9001->27017/tcp mongodb 이렇게 나오는데 COMMAND 가 길어서 짤리게 된다. 그걸 전체 다 보고싶을 때. docker ps --no-trunc $ docker ps --no-trunc CONTAINER ID IMAGE COMMAND CREATED STATUS PORTS NAMES 3516940c03..중략 mongo:latest "docker-e.. 공감수 1 댓글수 49 2020. 4. 3.
  • [Ubuntu] SSH Server 설치 ubuntu 에서 밑의 커맨드를 입력한다. $ sudo apt-get update $ sudo apt-get install openssh-server $ sudo service ssh start windows 에서 putty 혹은 mobaXterm 등의 ssh 클라이언트로 ubuntu 의 ip 와 port (아마 기본값 22) 로 접속해보자. Remote host 에 ubuntu 의 ip 를 쓰고 접속하면 된다. 공감수 1 댓글수 12 2020. 3. 27.
  • [Ubuntu] ImportError: libSM.so.6: cannot open shared object file: No such file or directory ubuntu18:04 python3 에서 opencv 를 import 하려고 했는데 나온 에러 ImportError: libSM.so.6: cannot open shared object file: No such file or directory - 해결 $ apt-get update $ apt-get install -y libsm6 libxext6 libxrender-dev 일단 이걸로 해결.. 공감수 1 댓글수 17 2020. 3. 26.
  • [Docker] sudo 없이 Docker 명령어 실행하기 1. docker 그룹 만들기 $ sudo groupadd docker 2. user 에 1. 에서 만든 그룹 추가하기 $ sudo usermod -aG docker $USER 3. docker 서비스 재시작 혹은 재부팅 후 확인해보기 $ sudo service docker restart $ sudo reboot 공감수 1 댓글수 61 2020. 3. 26.
    문의안내
    • 티스토리
    • 로그인
    • 고객센터

    티스토리는 카카오에서 사랑을 담아 만듭니다.

    © Kakao Corp.